top of page

수축과 이완의 시간 / 김송희

Times of Contraction and Release / Song Hui Kim

나는 요 며칠 빈 시간들을 지니고 있다. 주머니 속의 소중한 무엇처럼. 시간이 비어진 틈새마다 늘 마음을 움직이는 것들이 들어선다. 자연과 삶의 어떤 찰나들. 그것들을 붙잡으려 애쓰는 인간의 흔적들. 그 모든 것이 다 연결되어 있다는 깨달음 혹은 믿음 같은 것들. 그를 위한 시간을 온전히 비워두어야만 알아챌 수 있는 것들. 그것을 어떻게든 기억해보려는 나의 빈약한 말들 또한 그곳에 있다.

 

우리가 주고받는 말들이, 말 이전의 것에 대한 우리의 약속에서 태어나 그 약속 자체를 이어나가려는 노력이라면, 어떤 형태든 언어라는 것에 애정을 가지는 것은 세계를 사랑하는 것, 다시 말해 세계를 이루는 관계들을 믿는 것이라는 생각도 문득, 그 시간의 틈으로 들어왔다. 그 언어, 결국은 그 믿음에 대해, 그 지극한 사랑에 대해,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은 그린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물론 쓰고, 씨앗을 심는 사람들은 심고, 요리를 하는 사람들은 요리하고 기도를 할 줄 아는 사람들은 아마 기도를 할 것이다.

 

우리는 언어의 도움 없이 같은 것을 보기 위해 언어를 빌리는 모순을 끔찍이 사랑한다.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끊임없이 되묻고 뭉개고 다시 세우는 지리멸렬한 과정을. 그러나 우리가 결국은 실패하고 마는 그 모든 대화들의 저편에 있는 것. 그림을 그리는 이는 그것을 반복해서 그리고 있다. 그 동어반복만이 조금이라도 우리의 세계를 구원해보려는 노력임을, 나는 그리고 당신은 알아챈다.

 

그런 날이었어. 너의 정중한 초대를 받았던 날이. 무심한 눈길에도 꽃망울이 부풀던 월요일 오후, 버스를 탔는데 창가 자리가 비어 있어서 사치스러운 기분마저 들었다고 내가 얘기했던가? 나는 사실 조금 긴장이 되었어. 너의 초대에 대한 모든 대답을 준비하고 싶었거든.

기억나? 그때 그 버스에 앉아 뒤적이던 시집에서 “이천오년 오월 삼십일, 제주의 봄바다는 햇빛이 반. 물고기 비늘 같은 바람은 소금기를 힘차게 내 몸에 끼얹으며, 이제부터 네 삶은 덤이라고”*라는 긴 제목의 시를 발견하고, 네게 문자를 보냈었잖아. 이 시가 몇 해 전 네가 제주에서 그린 풍경을 닮았다고. 주변의 것들에 녹아들어 곧 사라질 것 같은 자화상이 담긴 그 목탄 드로잉을 난 늘 ‘제주’라는 원래 제목 대신 ‘풍장’이라는 제목으로 불러왔다고. 너는 한 번도 묻지 않았지만, 그렇게 건너다보았던 너와 너의 풍경이 언제나 내 대답이었어. 사실 말은 필요 없었는데도.

버스에서 내려 너의 집으로 걸어가던 길, 처음 보는 나뭇잎을 주웠어. 둘러보니 큰 나무가 있더라. 비가 조금 내린 뒤였어. 꼭 그 나무 그림자만큼 잎들이 떨어져 있었어. 그곳을 지나며 시집을 가방에 넣었어. 당연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당연하지 않을 때 부연설명처럼 시가 혹은 말이 만들어지는 게 아닐까라고, 그때 문득 생각을 했어. 아니, 시나 말을 이루는 언어라는 것 자체가 부연설명이겠지.

너의 집에 도착하니, 네가 갓 지은 밥을 푸고 있었어. 마당의 나무가 살아있는 것 같다고, 아마 매실나무인 것 같다 하니 네가 기뻐했지. 지금 어쩌면 하얗게 매화가 피었겠다.

우리는 밥을 먹고 끊임없이 얘기하며 서로의 지금을 확인한 후에야 너의 그림 앞에 섰어. 어쩌면 우리의 대화가 실패할까봐 조바심이 났던 게지, 너도.

그림으로 벽을 세운 작업실에는 시간이 우물처럼 고여 있었어. 창문을 열면 바로 앞에 바짝 다가 선 축대. 축대를 타고 오르는 풀. 창문과 축대 사이 좁은 통로를 오가는 들고양이와 바람. 그에 대해 공통의 말로 마주하는 사람들. 익명이지만 익숙한 몸들. 검안기 속 초원 위의 붉은 열기구에 초점을 맞추며 시력을 가늠하듯, 주변의 것들에 초점을 맞추며 삶을 보려는 너의 동공. 그 수축과 이완의 시간을 보았어.

토기를 구웠던 시간. 어둠 앞에서 새어나오는 낮은 한숨의 반동에 휘청, 생으로 돌아섰던 그 순간. 네가 쏟아낸 모든 말들.

 

건너에 있는 네게 대답해.

어떤 단어로도 만들 수 없는 문장을 우리는 가지고 있어.

그래, 우리는 알고 있어.

 

 

* 한강,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문학과지성사, 2013) 수록 시.

김송희 / 이러저러한 일을 거쳐 지금은 농부시장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덕분에 도시에서도 계절이 오고 가는 것을 보고 산다.

Over the past few days, I’ve been carrying vacant time, like certain valuables in a pocket. Into the gaps of emptied time, things always penetrate, affecting the state of mind. Those things are some ephemeral moments of nature or life. Humans leave traces behind, trying to catch those moments. Sometimes they are recognitions or beliefs, that all these are connected, which are only recognizable when you fully empty your time. This emptiness even embraces the poverty of my words that strive to capture them.

If the words we exchange were born from our promise of something that came before words, or rather as efforts to keep that promise, the affect for any form of language would mean to love the world. In other words, it could mean to believe in the relations that construct the world. This idea actually occurred to me, in one of the moments of empty time as well. Painters paint around that language, around that belief in the end, and around that utmost love. Of course writers write around it, while the sowers sow, cooks cook and prayers pray for it.

We are desperately in love with this contradiction of borrowing the language with the aim to see things commonly without the help of the same language. We love the tedious process of constant questioning, blurring and reestablishing meanings to recognize each other. But what is this thing that stands beyond our dialogs that is destined to fail? A painter keeps painting it over and over. You and I can finally recognize, that only this tautology could be the real effort to save our world at least a little bit.

It was one of those days, when you cordially invited me to visit. It was a Monday when spring flowers appeared in evident bloom even at the most vacant gaze. Have I told you how I felt indulged, to find and get a window seat in that afternoon? To tell the truth, I was a bit nervous, because I wanted to be perfectly ready with my responses to your invitation. Can you recall it? I sent you a text message, after finding the poem with a lengthy title of “On May 30, 2005, the half of the spring ocean in Jeju is covered with sunshine. The wind feels similar to fish scales and it dynamically poured salty air all over my body, whispering that the rest of my life is a bonus,”* from the poetry book that I was flipping on the seat of the bus. I texted, that this poem resembled the landscape of Jeju you had painted a few years ago. That I’ve been calling that charcoal drawing of your self-portrait – that seemed to melt away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as “aerial burial,” instead of its original title called “Jeju.” You never asked me, but that had been always my answer to you and your landscapes that I peeked over on and off. Indeed, no word was necessary.

Taking off from the bus and walking to your house, I found a leaf that I had never seen. As I raised my eyes, there was a tall tree. It had just rained. The fallen leaves on the ground occupied exactly the surface contoured by the shade of the tree. Passing it by, I packed away my poetry book. Then I thought, whether a poem or a word, like an additional note, would start to be generated whenever things that seemed natural turned out actually not to be natural. Well, the language itself that composes into poems or words would be an additional note.

As I arrived, you were about to fill the bowl with rice that got just cooked. As I commented that the tree in your garden seems to be still living and that it is probably a plum tree, you were very happy to hear that. Maybe by now it could be blooming white.

After we ate and after endless updates on our lives we had to catch up with, we stood finally in front of your paintings. Probably you were also nervous, concerned that our dialog might fail.

In your atelier, made of walls of paintings, time was contained like in a well. When I opened the window, an embankment stood just in front of it. Plants grew over it. It was only cats and wind who passed through the narrow path between the window and the embankment. Voices sharing common words about the cats and wind were overheard. Anonymous yet familiar bodies. Like estimating the eyesight through focusing the hot-air balloon floating over a meadow, your pupil spent times of contraction and release, to find focus on the things around your life.

The time when we made pottery. The moment when you turned to the life, rebound by the deep sigh that leaked before the dark. All the words you gushed out.

I answer you, standing across.

We bear lines that cannot be composed through any words.

Yes, we are aware of them.

 

* Excerpt from Han Kang, The Evening is in the Drawers, Moonji Publishing, 2013.

Songhee Kim went through different phases in life to end up running a farmer’s market. The job helps Kim not to miss the change of the seasons within a big city.

bottom of page